4년마다 대박 보장

이보다 좋은 외교가 있을까

16강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마지막까지 잘 싸워준 태극전사들의 활약이 돋보였던 러시아 월드컵. 조별 예선이 도입된 이래로 본선 진출에 처음 실패한 독일에서는 한국인들이 일본어를 하고 다닌다는 웃픈 이야기도 있지만 멕시코에게는 어마어마한 감사를 받고 있는 중입니다. 현지 기아차 공장에 맥주, 간식 등을 선물로 보내고 현대 자동차 앞에서 큰절을 올리는 등 한국의 승리를 온몸으로 기뻐하고, SNS에서는 #ThankyouKorea를 해시태그로 달며 각종 짤을 양산하고 있습니다.

월드컵 개최 비용

이렇게 4년마다 전 세계가 열광하는 FIFA 월드컵은 누구의 돈으로 열릴까요? 보통 월드컵을 한 번 개최하는 데 드는 비용은 1415조 원 정도입니다. 대부분 개최국이 부담하는데, 주로 FIFA(국제축구연맹) 기준에 맞는 축구장을 갖추고 도로 등 주변 인프라 구축에 드는 비용입니다. FIFA 기준에 맞는 축구장을 갖추기란 여간 까다로운 게 아니어서 축구 종주국인 영국조차도 리모델링 비용 때문에 개최국 경쟁에 뛰어들기를 꺼려 합니다. 최소 68만 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현대식 설비가 갖춰진 경기장이어야 하는데, 한 번 개최 후에 다시 개최하기까지 약 20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개최할 때마다 어마어마한 리모델링 비용이 드는 셈입니다.

FIFA도 돈을 냅니다

그래도 FIFA가 모든 비용 부담을 개최국에 지우는 것은 아닙니다.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게 되면 출전 수당과 상금이 나오는데, 본선 진출 32개국 중 꼴찌가 받는 금액이 최소 102억 원입니다. 우승하면 400억 이상을 받는데, 이 금액들을 합하면 약 4,000억 원 정도로 FIFA가 모두 부담합니다. 또, 개최국에도 지원금 명목으로 큰돈을 줍니다. 2002 한-일 월드컵 개최 당시, 약 2조 9,000억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FIFA의 수익 구조

그렇다면 FIFA는 어디서 돈을 벌어오는 걸까요? IOC와 비슷한 수익구조를 가지고 있는 FIFA는 중계권과 스폰서 기업의 후원 비용이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브라질 원드컵 당시 중계권으로 약 2조 5,800억 원, 후원 비용으로 1조 6,100억 원을 벌어들였습니다. 라이선스 등 기타 잡이익까지 합하면 월드컵 개최 해마다 약 6조 7천억 원의 매출을 올리는데, 여기서 이익은 약 2조 2천억 원 정도입니다. 이 이익의 약 70%는 제3세계의 축구 발전, 유소년 축구 발전 등을 위한 기금으로, 나머지 금액은 FIFA의 운영 자금으로 사용된다고 합니다.

2015년 기준으로 FIFA의 현금 보유액은 1조 5,000억 원이었습니다. 3년 적자를 보고 4년째 흑자로 돌아서는 구조인데, 경쟁사도 없고 진입 장벽이 매우 높은 독점 비즈니스이기에 만약 FIFA가 주식에 상장된다면 전 재산을 털어서라도 사야 한다는 우스갯소리도 나옵니다.

매력포인트, 중계권료

FIFA의 매력을 더욱 빛내주는 것은, 단연 독점에서 오는 중계권료입니다. 중계권료는 미국 방송사가 가장 많이 내는데(유럽이 가장 많이 낼 것이라는 예상치를 뒤엎고), 이번에도 미국의 Fox 사가 러시아 월드컵과 카타르 월드컵의 중계권료를 4,630억 원에 사 갔습니다. 하지만 미국이 본선 진출에 실패하면서 Fox의 연말 성과 보고에 먹구름이 드리워졌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중파 방송 3사가 돌아가면서 중계권 협상을 주관합니다. 단일 방송사 단위로 중계권을 협상하게 되면 금액 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 방송사가 협상을 주관하고 중계권료를 1/n로 나누는 식입니다. 영국의 경우도 2개 중계사가 나눠 내는 구조입니다. 사실 FIFA의 경우 단일 기업 단위로 중계권료를 협상하는 것이 더 좋지만, 금액적으로 부담이 크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1/n 중계권료 부담을 허용해주고 있습니다.